본문 바로가기
몸과 마음의 건강

방구석 1열 176회 : 정신건강의 날 특집 -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 테이크 쉘터

by shine153 2021. 10. 13.
728x90

방구석 1열 176회


10월 10일 정신건강의 날 맞이해서

이번 방국석 1열의 주제는

당신의 멘탈은 안녕하십니까?

코로나 여파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2018년 대비 2배이상 증가 했다고 한다.


그중 젊은층인 2~30대에서

코로나 블루 증세가 심각하다고 한다.

이번 방구석 1열의 영화는

데이비드 O.러셀 감독의 2013년작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제프 니콜스 감독의 2013년작 [테이크 쉘터]

정신질환을 현실적으로 표현했다는 평을 받는 두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등장인물들의 진단명 분석

주인공 펫의 진단명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운

조울증


양극단의 기분이 오가는 증상으로 '양극성 장애'라고 지칭한다.

양극성 장애의 증상

  1. 사소한 것에도 기분 변화가 큼
  2.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움
  3. 감정이 격양되어 끊임없이 말함
  4. 에너지가 넘쳐 피곤함을 못느낌

펫의 아버지의 진단명은

강박장애


본인의지와 무관하게 특정행동이나 생각울 하게 되는 것

강박장애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으로 분류

강박사고의 예
누군가 자신을 해칠것 같은 알수없눈 불안감

강박사고의 예
청결강박 : 손씻기를 반복 - 코로나19로 청결강박 증가
확인강박 : 가스밸브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
문단속을 계속 확인

그리고 요즘 많은 사람들이 호소하는

우울증


우울의 종류 두가지 주요우울장애와 지속성 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MOD)
우울감과 무기력함을 느끼는 증상이 2주이상 지속되는 경우

지속성 우울장애(기분부전장애)
경도수준의 우울감이 2년 이상(성인 기준) 지속되는 경우

※ 누구나 우울, 불안, 강박을 느낄 수 있지만
일상에 지장을 줄 때 전문 병원의 치료를 권유


테이크 쉘터 등장인물들의 진단명 분석

주인공 커티스의 진단명은

조현병


조율되지 않은 현악기의 현처럼 혼란울 격는 모습을 보이는 병증
대부분의 원인른 뇌의 이상으로 100% 유전은 아니다.

조현병의 대표 증상
환각과 망상

환각의 종류 - 오감에 이상 감각을 일으키는 환각 증세
환청 : 실제로는 없는 소리가 들림
환시 : 존재하지 않는 대상이 보임

망상의 종류
피해망상 : 누군가 자신에게 피해를 준다는 망상
과대망상 : 자신의 능력울 과대평가하는 망상
색정망상 : 타인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망상
허무망상 : 모든게 사라져버리는 허무에 빠지는 망상


불안 장애
공황장애 : 갑자기 심한 불안을 느끼는 공황 발작이 반복되는 장애
범불안장애 : 일상생활 속 여러일들에 비합리적인 걱정을 갖는 장애
→ 불안감이 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
불안이 심화되면 알콜의존, 우울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

영화 마지막에서 몰려오는 폭풍우를 본 가족들의 예상 진단명은

공유 정신병

조현병 환저와 그렇지 않은 사람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을 때 조현병이 아닌 사람에게 옮겨가는 망상
= 영향을 준다. ≠전염

공유정신병의 조건

  • 유대 관계가 끈끈한 사이
  • 외부로부터 고립된 상태
  • 조현병 환자가 중요 결정권자

영화에서 자주 소재로 쓰이는

정신질환은 간혹 너무 잔혹하거나 극단적으로표현될 때가 있다.

그런 이유로 정신질환자를 대하는 대중의 시선이

좋지 않은것이 사실이다.

코로나 19로 우울감등 정신적 고충이 많은 요즘

두 영화를 보면서

지친 마음을 돌아보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728x90

댓글